[천자칼럼] 카지노 입플의 퇴장
입력
수정
지면A31
카지노 입플가 당초 환경보호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스웨덴 공학자인 스텐 구스타프 툴린은 사람들이 많이 쓰는 종이봉투를 제작하기 위해 수많은 나무가 베어지는 것을 보고 ‘가볍고 오래가는 봉투를 만들어 몇 번이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의도에서 1959년 카지노 입플를 고안했다. 실제 2011년 발표된 영국 환경청 연구 결과 대기오염 관점에서 카지노 입플가 종이봉투나 면으로 만든 에코백보다 낫다는 분석이 나왔다. 제품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량을 고려할 때 종이봉투는 3번 이상 재사용하고, 면 재질 에코백은 131번 정도 재사용해야 카지노 입플를 1회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환경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정부가 2019년 대형마트와 슈퍼마켓에 이어 오는 24일부터는 편의점에서도 카지노 입플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다만 1년간의 계도기간을 둬 위반하더라도 과태료는 부과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과연 소비자의 불편을 감수할 만큼 환경보호 효과를 가져올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 국내 전체 카지노 입플 사용량은 연간 약 211억 장으로 이 가운데 편의점 비중은 3%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지노 입플 대신 사용할 종이봉투가 훨씬 비싼 데다 무거운 상품을 담았을 때 찢어지기 쉬워 편의점 곳곳에서 벌어질 점주와 손님 간 실랑이도 우려된다.
환경부의 탁상행정에 대한 불만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해 환경부 장려책에 따라 편의점업계가 일제히 생분해 친환경 카지노 입플를 제작·도입했는데, 분리수거 시스템이 준비 안 된 탓에 1년 만에 없던 일로 되돌린 적도 있다. 정책 현장의 불편까지 세심하게 살피면서 효과가 큰 정책부터 해나가야 소비자의 지지를 얻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유병연 논설위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