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으로 빚은 식기(食器)를 통해 인간의 유한함을 깨닫게 만드는 전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종로구 호호재서울
공예가 김영옥 개인전
'오늘과 내일' 12월 6일까지
공예가 김영옥 개인전
'오늘과 내일' 12월 6일까지

'손으로 만든 솜씨'라고 불리는 공예에서도 김영옥은 유독 은이라는 재료에 집중했다. 전통적 기법을 사용해 사람들이 일상에서 실제로 쓸 수 있는 작업물을 만들어낸다. 주전자, 접시, 찻잔 등 그가 만드는 작품 대부분이 음식과 음료를 담는 기물들이다. 은은 불순물이 없고 향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기로 유용하게 쓰이는 재료이기 때문이다.

전시가 이뤄지는 호호재서울의 1층은 ‘죽음의 미학’이라는 주제로 꾸며졌다. 인간의 근본적 소멸을 작품으로 풀어낸다. 세상에 태어났다 사라지는 자연스러운 인간의 이치를 공예로 형상화했다. 위로 올라가면 '생명의 미학'이 펼쳐진다. 생태적 존재인 인간과 자연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보완관계에서 살아가야 한다는 김영옥의 철학이 드러난다.
그는 전시를 통해 인간이 식기와 음식을 소비하는 것이 생태적 책임의 일환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먹는 행위를 통해 우리가 환경과 생태계, 자연의 순환 속에 있음을 느끼고 삶의 가치를 재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 이어진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 메이저카지노사이트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